본문 바로가기

2023년 제14회 부산평화영화제/기록문

경쟁7(<틈 속의 유영>, <풀카운트>, <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입문>)

일시 : 2023. 10. 28 토요일 19시

장소 : 모퉁이극장

참석자 :  김현영(<틈 속의 유영> 감독), 박효은, 김민서(<틈 속의 유영> 배우), 이재환(<풀카운트> 감독), 송지서(<크리스마스트리 만들기 입문> 감독), 김채희(모더레이터)

작성:  조민정

 

 

영화 <틈 속에 유영> 김현영 감독님, 영화 <풀카운트>의 이재환 감독님, 영화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 입문>의 송지서 감독님 세 분을 모시고 gv를 진행되었다.

 

먼저 영화의 제작하게 된 계기를 전하는 시간에서는 영화 <틈 속의 유영>의 경우 김현영 감독님은 본인의 경험을 빗대어 사춘기 시절의 일기처럼 만들어서 자신 스스로를 돌아보고 싶었기에 꼭 어쩌면 만들어야만 했던 영화였다고 밝혔으며 감정적으로 시나리오를 써서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영화 <풀카운트>의 이재환 감독님은 본인이 야구 선수 출신이다 보니 야구 관련 영화를 꼭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와중 군대에서 시나리오를 작성하다가 우연히 뉴스를 통해 한 손으로 야구 생활을 하는 분의 이야기를 접하게 되어 쉽지 않은 길을 풀어내며 장애가 가지고 있어도 동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사실적인 영화로 구현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또 다른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동정심이 아닌 그저 캐릭터 자체를 응원하게 되는 영화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고 밝혔다.

 

영화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 입문>의 송지서 감독님은 영화를 제작하면서 주변의 힘들어하는 친구들의 전반적인 삶의 의미라던가 거시적인 문제에 대한 의미와 질문을 던지고 싶은 시기가 있었는데 의미를 찾지 못할 때 의미가 있다는 것에 회의감을 느끼면서 힘든 시기에 떠올리게 된 영화인 것 같다고 영화 제작 계기를 밝혔다.

 

영화 <틈 속의 유영>는 청소년 시기에 찾아오는 사회적인 우위를 과시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장면을 담고자 하여 주인공이 언니를 불러내어 과시적인 폭력적인 모습을 표현하고 이후 밀려오는 부끄러운 모습이라는 것을 느끼게 하기 위한 연출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영화의 마지막 장면 속에서 신발이 던지는 장면에 대한 주인공의 감정은 어쩌면 언니에 대한 앙갚음과 언니에게 가지는 미안함과 부끄러움 같은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연출이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틈 속의 유영>의 경우는 시대적인 표현이 잘 담아냈다고 느껴진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더불어 섬세한 감정 연기 연출에 있어서 역할과 비슷한 나이와 언니와의 갈등 상황 등의 캐릭터가 비슷했기에 조금 더 연기에 몰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영화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 입문>의 경우,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든다는 행위를 수업이라는 형식에 적용 시킨 이유는 있는 수업은 아니지만 예술 대학 수업에서 모티브를 삼아 만든 형식의 수업이었다고 밝히며 영화의 상영 4:3의 비율을 사용하여 영화를 제작한 이유로 처음에는 막연한 구체적인 이유 없이 시작했지만, 감독님께서는 이 영화의 장르가 코미디라고 생각하는데 한편으로 진지한 모습이 많이 보이지만 그러한 분위기 흐름을 코미디로 끊어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용한 포인트가 있었으며 이야기처럼 느껴지기 위해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영화 <풀카운트>에 불굴의 의지를 표현했다는 부분이 크게 다가왔는데 그 부분이 부모님의 응원의 모습이 합쳐져서 관객에게 더 크게 다가왔다는 관객의 평이 있었으며 감독님의 세세한 연출과 깊은 생각이 영화 속에 고스란히 드러났다.

 

영화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 입문>의 경우 힘든 시기를 절망감을 느끼는 사람들에 대한 유대감을 표현하고자 했던 영화이며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영화보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영화였다고 생각하면 좋겠다는 말씀을 전했다.

 

영화 <풀카운트> 장애인의 인권에 대해 논하는 작품은 많고 예술 전반의 분야를 넘어서 많은 분야에 대해 논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지만 스포츠 영화인 만큼 그 인물의 장애가 스포츠 선수로서 겪는 어려움을 표현하는 데 있어 다른 영화인 경우 영화의 본질에 어긋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풀카운트>의 영화는 매우 조심스럽게 접근했지만 도와주는 것을 원하는 게 아니라 그저 사실 그대로 보이기를 원하는 입장을 최대한 담백하게 표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눈물이나 감동까지 이어지기보다는 그저 주인공의 입장을 응원하는 영화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영화를 제작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모든 사람이 나쁜 사람이 아니라 사회적인 요소 때문에 나쁜 사람이 된다는 것이 이 영화의 갈등 요소로 표현되었으며 이를 관객들이 사유하면서 느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영화를 연출하였다고 밝혔다.

 

영화 <크리스마스 트리 만들기 입문>의 경우 소중한 사람을 잃었기에 무력감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크리스마스 트리를 만들기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 마지막 장면 속에 트리를 버리는 장면을 친구 용희를 의미하는 트리를 버리는 행위를 장면으로 나타냄으로써 죽은 용희를 신이라고 생각한다면 트리를 꾸미는 행위는 그 친구와는 상관없는 행위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마지막에는 결국 트리를 꾸미는 행위는 친구가 아닌 자신들을 위한 행위를 표현하기 위한 연출했던 장면이었다고 밝히면 gv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