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3년 14회 부산평화영화제/기록문 (10)
부산평화영화제 아카이브

일시 : 2023. 10. 27. 금요일 16시 장소 : 모퉁이극장 참석자 : 김인아, 송수지( 감독), 이지원(모더레이터) 작성: 최가을 Q.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북한 음식, 그리고 기억에 남는 음식이 있는지? A. 한국에 아예 없는 음식은 찾지 못했다.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온면과 된장찌개였다. A. 청양고추가 들어가 있는 평양냉면이 정말 맛있었다. 꼭 다시 먹고 싶다. Q. 중국에 살았어서 영화를 보며 공감 가는 부분이 많았다. 겉으로 보면 무서워 보여도 우리는 재밌게 살았다. A. 비슷한 얘기를 많이 들었다. 북한이 외부 나라에는 사람이 못 살 곳으로 비춰지는데 그분들한텐 그곳이 고향이고 결국 사람 사는 곳이다. 저희가 전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여기도 사람들이 살고 있다.’였다. 다 함께 ..

일시 : 2023 10. 27. 금요일 13시 30분 장소 : 모퉁이극장 참석자 : 신나리( 감독), 박지연(모더레이터) 작성: 조민정 영화 연출을 맡은 신나리 감독님과 함께 진행된 gv는 27일 오후 3시 15분부터 40분간 진행되었다. 영화 속에서의 하정웅 미술 컬렉터님과 사학자 차티니 쥬로쿠님에게 비난과 탄압이 있었지만 결국 증명해내며 사실을 밝혀내며 성과를 이루어 냈으며 그것을 이번 영화 로 제작되어 상영됨으로서 마침표를 찍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신나리 감독님께서는 강제 동원의 작품을 진행하면서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일본어가 능숙한 사람과 함께 하면 더 좋은 작품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일본의 강제 수용소의 모습을 먼저 접하면서 수용소의 잔재가 너무나도 크게 다가왔..

일시 : 2023. 10. 27. 금요일 11시 00분 장소 : 모퉁이극장 참석자 : 오민욱( 감독), 김필남(모더레이터) 작성: 최가을 Q. ‘바위눈’ 소설의 어떤 점에 매료가 되어서 영화를 만들게 됐는지? A. 소설이기 때문에 이야기가 주는 힘에 매료되었다. 형식적인 특별함 같은 것들을 부여하지 않은, 전통적인 이야기의 힘과 인물들이 주는 에너지가 와 닿았고 이 소설이 오래된 이야기만으로 머무를 수 있겠다는 생각 등 소설에 대한 여러 생각과 맞닥뜨리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느낌이 좋았다. 소설의 주제나 소재들도 지금껏 영화를 만드는 과정에서 해왔던 것들이랑 연결되는 지점이 있기도 했다. Q. 영화에서 이 역사가 어떻게 전달되면 좋겠다, 또는 어떻게 보여주고 싶었다, 이런 점이 있었는지? A. 역사는 ..

일시 : 2023. 10. 26. 목요일 18시 30분 장소 : 모퉁이극장 참석자 : 뎡야핑(팔레스타인 평화연대 활동가), 이지원(진행) 작성: 조민정 ] 이번 부산평화영화제에서는 연대 활동가 뎡야핑님과 함께 여러 상영작 중 영화 에 관한 씨네토크가 26일 목요일 오후 5시 55분부터 20분간 진행되었다. 현재 팔레스타인이라는 국가가 현재 지도에 나오지 않지만, 이스라엘은 지도에 검색이 가능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영화 은 이스라엘 내부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이다. 팔레스타인은 지중해 아래쪽에 있는 부분이 지금 우리가 말하는 팔레스타인 지역을 의미하며 지금 우리는 팔레스타인이라고 부르지만 공식 명칭은 피점령지 팔레스타인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 속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스라엘이 팔레스타..